고등 학생도 이해 할 수 있는 수요와 공급의 원리

 

 중동에서 전쟁이 일어나면 전 세계의 휘발유 가격이 오르고, 일부 지역이 자연재해를 입으면 그 지역의 특산물 가격이 오른다. 이러한 현상들은 모두 시장의 수요와 공급의 원리가 작용한 사례이다. 이  처럼 수요와 공급은 각 재화의 판매 가격과 거래량을 결정하는 것으로, 시장 경제 체제를 움직이는 원동력이라고 할 수 있다.

 수요 공급 그래프의 이해

일반적으로 재화의 다른 조건들이 동일하다면 재화의 가격은 재화의 수요량과 반비례하고 재화의 공급량과는 비례한다. 가격과 수요량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수요 곡선이라 하고, 가격과 공급량의 관계를 그래프로 나타낸 것을 공급 곡선이라 한다.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은 가각 수요 또는 공급이 증가할 때 우측으로 이동하고, 감소할 때 좌측으로 이동한다. 수요는 재화를 대체할 수 있는 대체재의 가격, 구매자들의 취향, 미래에 대한 기대, 재화를 구매하려는 수 야자의 수 등에 영향을 받으며 공급은 재화와 관련된 생산비, 기술, 미래에 대한 기대 판매자의 수 등에 영향을 받는다.

 

 재화의 거래량과 가격은 수요와 공급의 균형을 이루는 곳에서 정해진다. 수요 곡선과 공급 곡선을 겹치면 그림과 같은 그래프가 도출된다.

이때 두 곡선이 만나는 점을 균형점이라고 하고, 이 점에서의 가격을 균형 가격, 거래량을 균형 거래량이라고 한다. 그리고 균형 가격과 균형 거래량을 곱한 것이 총수입이 된다. 균형점에서 구매자들은 원하는 만큼 재화를 살 수 있고 판매자들은 원하는 만큼 재화를 팔 수 있으므로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 만족스러운 상태가 된다. 

수요와 공급의 특성

 한번 균형점이 정해지면 수요와 공급이 고정될 것 같지만 이는 시장의 상황에 따라 끊임 없이 변화한다. 만약 특정 대화가 미디어에 노출되어 수요가 급격히 늘게 되면 판매자들은 늘어난 수요에 따라 시장 가격을 변경하게 된다. 그러면 해당 가격에 맞추어 다시 수요량에 변동이 생기고 그에 따라 공급도 변화하는 식으로 시장은 새로운 균형점을 찾아 조정된다. 반대로 공급이 먼저 변화하는 경우도 마찬가지로 수요와 공급이 서로에게 영향을 미치며 적정한 시장 가격을 형성한다. 이처럼 수요와 공급이 일시적으로 균형에서 벗어나더라도 자동적으로 시장 가격은 균형 균형 가격을 향해 움직인다.

 

 한편 수요와 공급이 시장 상황에 따라 변화가 민감할수록 탄력성이 높다고 한다. 즉 탄력성은 변화 정도를 나타내는데 예를 들어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라고 하면 가격의 변화에 따른 수요의 변화 정도를 나타낸 것이다. 이는 원인의 변화율을 분모로 놓고 겨로 가의 변화율을 분자로 놓아 구한다. 수요의 변화율을 가격의 변화율로 나누면 이것이 곧 수요의 가격 탄력성이 되는 식이다. 탄력성은 1을 기준으로 하여 1보다 높으면 탄력적이라고 하고 1보다 낮으면 비탄력적이라고 하며 원인이 되는 것이 얼마나 변화하든 결과에 변화가 없으면 완전 비탄력적이라고 한다.

더보기

댓글,

Egg Games

다양한 게임 정보들과 공략을 올립니다.